씨맨스클럽
이란-이스라엘 전쟁, 그리고 해운 업계 (HMM, 팬오션) 본문
오랜만에 블로그 글.
2025년 6월, 중동에서 터진 이란-이스라엘 간 무력 충돌은 단순한 지역 분쟁을 넘어 글로벌 해운 물류 시스템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고 있습니다. 특히 호르무즈 해협, 수에즈 운하 등 중동 인근 주요 해상 물류 거점의 불안정성이 커지면서 한국 대표 해운기업인 HMM과 팬오션의 주가와 사업 전망에도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쟁이 국내 해운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향후 대응 전략은 무엇일지 깊이 있게 짚어보겠습니다.
• 호르무즈 해협 봉쇄 가능성
이란은 세계 원유 수출의 약 30%가 통과하는 호르무즈 해협의 지배적 위치를 점하고 있습니다. 만약 전쟁 격화로 이 해협이 봉쇄될 경우, 글로벌 해상 물동량의 흐름 자체가 흔들리게 됩니다.
• 수에즈 운하 경유 회피 증가
이스라엘과 이집트 모두 전쟁의 불씨를 안고 있어, 선박들은 수에즈 운하를 피하고 아프리카 남단 희망봉을 도는 대체 항로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한 운항 거리 증가와 연료비 상승은 곧바로 운임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 해상 보험료 폭등
리스크 프리미엄이 붙은 해상 보험료 인상은 해운사들에게는 또 다른 부담입니다. 특히 중동 항로를 운항하거나 관련 물동량을 처리하는 선사들은 직격탄을 맞게 됩니다.
HMM, 전쟁 리스크 속 '양날의 검'
HMM은 글로벌 컨테이너 해운 시장에서 아시아-유럽, 미주 항로를 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중동 내 직항 노선은 제한적이지만, 간접적으로 수에즈 운하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 운임 상승은 단기 호재
중동 위기로 대체 항로 사용이 늘면서 운송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SCFI(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 상승으로 이어져 HMM의 수익성 개선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연료비 및 보험료 부담
그러나 같은 맥락에서 연료비 증가와 해상 보험료 상승은 원가 압박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유가가 장기화된다면, HMM의 비용 구조는 다시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 선박 회전율 저하
항로 우회로 인해 선박의 회전율이 떨어지면, 전체 선복량이 부족해지는 효과를 유발합니다. 이에 따라 장기계약보다는 스팟 운임 시장 중심의 전략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른 HMM의 움직임을 살펴보면..
https://oceanpress.co.kr/mobile/article.html?no=26634
[해양통신] HMM, 태평양 항로 선박 중동 노선으로 전배
HMM이 화물이 급감한 태평양 노선 취항 선박을 빼 아시아~중동 노선에 투입하기 시작했다. 아시아~중동의 화물과 운임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HMM은 매달 두
www.oceanpress.co.kr
일 잘하고 있네요.
팬오션, 벌크 시장의 불확실성과 기회
팬오션은 철광석, 석탄, 곡물 등 주요 벌크 화물 운송에 특화된 국내 1위 벌크선사입니다. 컨테이너선과 달리 중동발 원자재의 직접적인 영향권 안에 있는 만큼, 이번 전쟁의 영향이 다소 다르게 작용합니다.
• 중동발 곡물·비철금속 물류 차질
팬오션이 운송하는 주요 화물 중 일부는 중동 및 인도양 지역에서 출발하거나 환적되는 경우가 많아, 항로 차질과 운송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운임 상승 가능성
해운 시장의 전반적 공급 지연은 벌크선 운임(BDI: Baltic Dry Index)에도 상승 압력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곡물 수확철인 7~8월을 앞두고 선박 수급 불균형이 벌어질 경우, 팬오션은 단기적으로 운임 상승의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중장기 리스크 관리 필요
반면, 장기적인 원자재 수요 위축(특히 이란/중동 지역의 경제제재 강화)이 벌크 화물 수요를 줄일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팬오션은 이에 대비한 포트폴리오 다변화 및 계약 다각화 전략이 필수적입니다.
팬오션은 다른 움직임은 없어보입니다.
향후 관전 포인트
항목영향 여부관련 기업 대응호르무즈 해협 봉쇄직접적 영향
팬오션: 원자재 대체 수입선 검토수에즈 운하 우회간접적 영향
HMM: 운임 인상 및 항로 재배치 전략 필요유가 상승전방위 영향
두 기업 모두 고유가 리스크 헤지 필요
해상 보험료 전방위 영향
고위험 항로 최소화 필요
BDI/SCFI 변동수익성 직결스팟운임 전략 강화 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