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선박 (19)
씨맨스클럽

이젝터(Ejector, 이덕터 eductor 와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는 간단한 구조지만 매우 효율적인 장치로, 주로 공기나 유체의 흐름을 이용해 다른 유체를 흡입하거나 혼합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젝터의 작동 원리는 베르누이의 정리를 기반으로 합니다. 이 정리는 유체의 흐름 속도와 압력 사이에 중요한 관계를 설명하는 물리학의 기본 원리로, 이젝터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는 데 핵심이 됩니다. 🔍 베르누이의 정리란?베르누이의 정리는 유체역학의 기본 법칙 중 하나로, 유체가 일정한 에너지를 보존하는 가운데 흐를 때 그 속도와 압력 간의 역상관 관계를 설명합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유체의 속도가 빨라지면 압력이 낮아지고, 반대로 속도가 느려지면 압력이 높아진다는 원리입니다.이를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

모든 분들이 산불로 인한 피해가 없길 바라며 글을 시작합니다.국제 해운업계가 커다란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바로 국제해사기구(IMO)가 2027년부터 탄소세를 도입하기로 공식 확정했기 때문인데요. 그동안 온실가스 배출의 사각지대로 지적받던 해운 산업이 이제 본격적인 탈탄소 전환의 중심에 서게 됩니다. 2년 뒤 해운 ‘탄소세’ 도입…5000t 이상 선박 대상전세계 해운 업계가 2027년부터 탄소세를 도입하기로 합의했다. 11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국제해사기구(IMO)는 이날 제83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를 개최하고 선박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중기 조치n.news.naver.com탄소세, 어떻게 작동하나?IMO가 도입하려는 탄소세는 단순한 벌금이 아니라, 선박 운항 시 발생하는 온실가스(GHG) 배출량을 ..

2024년 12월 3일, 대한민국 정부는 비상 계엄령을 선포했습니다. 이는 국가의 안전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로, 사회적 긴장 상태에서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해운업과 관련된 중요한 규정 중 하나는 바로 ISPS(International Ship and Port Facility Security) 코드입니다. ISPS 코드는 선박과 항만 시설의 보안을 위한 국제적인 규범으로, 이러한 비상 상황에서 선박의 운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SPS Code(ISPS 코드)란?크루즈선을 타고 외국에 나가거나 선박에 승선하여 외국항에 상륙 또는 하선하신 경험이 있으신가요? 아니면 선박에 방선하신 경험이 있으신가요? 만약 있다면, 그냥 배에 올라가거나 육..

돌핀이 돌고래가 아니라고? 돌핀(dolphin)을 흔히 우리는 돌고래 라고 알고있지만, 해양/해운 업계에서는 돌고래라는 뜻이 아니랍니다. 위와 같이 돌핀은 육지와 상당한 거리에 있는, 해저에 Pile을 박아 선박이 계류(mooring)하여 하역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입니다. 바다를 간척하는 것 보다 비용이 적게 들고, 조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오늘은 재밌는 바다 용어, 돌핀(dolphin)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선박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다양한 선종(선박의 종류) TOP 7에 대해 알아보자 - 1/2선박의 종류(선종)에는 수십가지가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선박'하면 떠오르는 컨테이너선, 크루즈선 외에도 LNG선, 시멘트선 등 특수 선종뿐만 아니라 들어보시지 못했을 법한 예인선(TUG)등 여seamansclub.tistory.com 제 블로그에서도 여러종류의 선종을 소개시켜드린 적이 있는데요^^ 오늘은 여기에 하나를 추가하려 합니다. 'LASH선'이란게 있어?네, 오늘의 주제인 LASH는 Lighter Aboard SHip, 즉 작은 배를 본선 위에 실을 수 있는 선박을 의미합니다. 5년차 항해사인 저도 익숙치 않은 선종이라 독서와 검색을 통해 지식을 익히고 여러분들께 공유드립니다. 그렇다면 왜 배 위에 배..

해상운송에서 "DG"란 무엇일까요? DG란 Dangerous Goods의 약자로, 위험 화물을 의미합니다. 어떤 화물이 내가 위험물인것 같다고 위험 화물이 되는 것은 아니고, 어떠한 규정에 의해 그 화물이 어떤 위험화물인지가 분류되는 식입니다. 이럴때 적용되는 규정이 바로 IMDG code인 것입니다. IMDG Code는 국제해사기구(IMO)에서 발행하는 "International Maritime Dangerous Goods Code"의 약자로, 해상 운송 중의 위험물에 관한 국제적인 규정집합입니다. 이 코드는 선박에 실려가는 위험물에 대한 분류, 포장, 표시, 운반, 저장 등에 관한 표준을 제공하여 해상 운송 중의 안전을 증진하고 환경을 보호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배경 및 개요 IMDG Code는 ..

오늘의 재미있는 바다 용어는 Knot입니다. 놋, 노트, 나트 등 다양하게 발음되는 이 단어를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BLOG(블로그)는 왜 BLOG(블로그)일까? (LOG, LOGBOOK) 안녕하세요! 지금 제가 쓰고 있는 것은 블로그 글입니다. 그런데 '블로그'는 왜 블로그일까요? 그런데 '블로그'는 왜 블로그일까요? 1. 블로그(Blog)의 유래 블로그는 블+로그입니다. 즉, B+log란 뜻 seamansclub.tistory.com 지난 번 주제였던 'blog'와 관련된 위 글에서 log가 통나무였고 그 통나무에서 유래하여 logbook이란 단어가 태어났다고 말씀드린 적이 있는데, knot또한 그 log와 관련이 있습니다. "Knot(노트)"이라는 용어는 선박의 속도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단위..

살면서 DUNNAGE란 단어를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던니지 또는 더니지 라고도 발음이 되는 이 단어는 선박에서 자주 쓰인답니다. 던니지란, 화물을 선박에 적재할 때 주로 화물과 선체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판재, 각재 및 매트을 말합니다. 선창 내에 화물을 적재하여 보관하는 것은 선주의 책임사항이므로, 항해중 선박이 동요하여 화물 상호간 혹은 화물과 선체간의 접촉, 마찰이 일어나 손해가 발생한다면 선주는 이를 배상해야만 하지요. 그러므로 선장은 화물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화물을 적재할 때 각목이나 매트 등을 밑바닥에 까는데, 화물의 밑바닥에 까는 이러한 자재를 총칭하여 던니지라고 합니다. 쉽게 말해, 선박은 파도로 인해 움직이는데, 화물이 그 움직임에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키고자 끼..

여러분은 북극항로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그전에, 북극 근처로 가장 가까이 어디까지 가 보셨나요? 저는 크루즈선 여객으로 승선하여 알래스카의 glacier bay에 가 본 적이 있는데, 그것이 저에게는 북극에 가장 가까이 가 본 경험입니다(위도 약 58.6N 정도네요). 북극항로가 왜 중요하나? 북극항로는 아래 블로그 글 덕분에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예상대로 SCFI는 상승했다 아래 블로그 글을 읽어 주시면, 본 블로그 글의 이해가 빠르실 것 같습니다. 예상대로 SCFI는 상승할까?얼마 전 아래 글과 같이 예멘 반군의 민간 상선 공격으로 인하여 홍해가 막힘으로 인하여 seamansclub.tistory.com 위 글은 홍해에서 후티반군의 활동으로 인한 운임 상승을 예상했던 글인데, 전세계 교역량이..

최근 해운업계와 IB업계에 뜨거운 감자가 있는데, 바로 HMM 인수전입니다. 그 얘기에 들어가기에 앞서, 몇몇 자료들을 살펴 볼 필요가 있습니다. 한진해운 선복량 세계 7위 된다 - 해사신문 (haesanews.com) 한진해운 선복량 세계 7위 된다 - 해사신문세계 선복량 9위인 한진해운이 조만간 세계 7위로 2단계 상승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중앙대학교 경기항만물류연구센터가 CI(Containerisation International)의 컨테이너선사들의 선복량 현황을 인용www.haesanews.com 위 기사는 2010년 해사신문에 기재된 기사입니다. 당시 한진해운은 명실상부 대한민국 1위의 해운회사이자, 세계 7위의 글로벌 선사였지요. [단독]한진해운, 40년 만에 파산…곧 회생절차 폐지결정 -..